조선왕조계보 외우기 왕 순서 가계도(본명, 휘, 묘호 표기)

조선왕조계보 외우기 왕 순서 가계도(본명, 휘, 묘호 표기)

조선왕조(1392~1910)는 518년 동안 이어진 긴 역사를 자랑하며, 태조 이성계에서 마지막 순종에 이르기까지 총 27명의 군주가 즉위했습니다. 


조선은 유교적 이념을 바탕으로 중앙집권적 체제를 확립하였고, 학문·예술·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발전을 이끌었습니다. 그러나 동시에 사화, 당쟁, 외세의 침략, 세도 정치와 같은 정치적 혼란도 겪었습니다.


역대 국왕을 올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한국사 공부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이며, 각 왕의 본명(휘), 묘호와 함께 순서를 외우는 것은 학생뿐 아니라 역사에 관심 있는 모든 이들에게 유익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조선왕조의 왕 계보와 업적, 본명·휘·묘호를 정리하고, 외우기 쉽게 정리된 가계도를 제공해 보겠습니다.


조선왕조 계보와 주요 업적


조선은 고려 말 혼란한 정국 속에서 새롭게 태어난 왕조로, 왕권과 신권의 균형, 성리학을 국가의 근본 이념으로 삼았습니다. 역대 국왕의 주요 업적을 간단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태조 이성계: 고려를 멸망시키고 조선을 건국. 한양을 천도하여 새로운 국가 기반을 마련.

  • 태종 이방원: 왕자의 난을 통해 권력을 장악. 호패법 시행, 양전 사업, 사병 혁파 등 중앙집권 강화.

  • 세종 이도: 훈민정음 창제, 과학기술 진흥(측우기, 혼천의 등), 농사직설 편찬. 조선의 황금기.

  • 세조 이유: 계유정난으로 단종을 몰아내고 즉위. 집현전을 폐지했으나 경국대전 편찬을 주도.

  • 성종 이혈: 경국대전을 완성하고 성리학적 질서를 확립. 문화와 예술이 크게 발전.

  • 중종 이연: 중종반정으로 즉위. 조광조의 개혁 정치 시도, 그러나 기묘사화로 좌절.

  • 선조 이연: 임진왜란 발발. 전란 속에서도 의병과 장수들의 활약으로 국가를 지탱.

  • 광해군 이혼: 분조 활동으로 전쟁 중 국정 운영. 그러나 인조반정으로 폐위.

  • 인조 이종: 병자호란으로 청에 굴복. 삼전도의 치욕.

  • 영조 이금: 탕평책으로 붕당 정치 완화, 균역법 시행. 그러나 사도세자와의 비극적 갈등 존재.

  • 정조 이산: 규장각 설치, 장용영 창설, 탕평책 계승. 개혁 군주로 평가.

  • 고종 이명복: 대한제국 선포, 개화 정책 추진. 그러나 외세 간섭 심화.

  • 순종 이척: 조선 마지막 황제. 한일병합으로 왕조가 종말을 맞음.


왕 순서 가계도 (본명, 휘, 묘호 표기)

아래는 조선의 27대 국왕을 묘호, 본명, 휘 순으로 정리한 가계도식 왕 계보입니다.

  1. 태조(太祖) - 본명 이성계(李成桂), 휘 성계

  2. 정종(定宗) - 본명 이방과(李芳果), 휘 방과

  3. 태종(太宗) - 본명 이방원(李芳遠), 휘 방원

  4. 세종(世宗) - 본명 이도(李祹), 휘 도

  5. 문종(文宗) - 본명 이향(李珦), 휘 향

  6. 단종(端宗) - 본명 이홍위(李弘暐), 휘 홍위

  7. 세조(世祖) - 본명 이유(李瑈), 휘 유

  8. 예종(睿宗) - 본명 이황(李晄), 휘 황

  9. 성종(成宗) - 본명 이혈(李娎), 휘 혈

  10. 연산군(燕山君) - 본명 이융(李㦕), 휘 융

  11. 중종(中宗) - 본명 이역(李懌), 휘 역

  12. 인종(仁宗) - 본명 이호(李峼), 휘 호

  13. 명종(明宗) - 본명 이환(李峘), 휘 환

  14. 선조(宣祖) - 본명 이연(李昖), 휘 연

  15. 광해군(光海君) - 본명 이혼(李琿), 휘 혼

  16. 인조(仁祖) - 본명 이종(李倧), 휘 종

  17. 효종(孝宗) - 본명 이호(李淏), 휘 호

  18. 현종(顯宗) - 본명 이연(李棩), 휘 연

  19. 숙종(肅宗) - 본명 이순(李焞), 휘 순

  20. 경종(景宗) - 본명 이윤(李昀), 휘 윤

  21. 영조(英祖) - 본명 이금(李昑), 휘 금

  22. 정조(正祖) - 본명 이산(李祘), 휘 산

  23. 순조(純祖) - 본명 이공(李玜), 휘 공

  24. 헌종(憲宗) - 본명 이환(李奐), 휘 환

  25. 철종(哲宗) - 본명 이변(李昪), 휘 변

  26. 고종(高宗) - 본명 이명복(李命福), 휘 명복

  27. 순종(純宗) - 본명 이척(李坧), 휘 척


조선왕조 계보 외우기

조선의 27명의 군주를 한 번에 외우기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몇 가지 암기 요령을 제안합니다.

  1. 연속되는 세자·형제 관계 활용

    • 태조 → 정종(형제), 정종 → 태종(형제), 태종 → 세종(아들)

    • 숙종 → 경종(아들), 경종 → 영조(이복동생), 영조 → 정조(손자)

    • 이런 연결 구조를 기억하면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어집니다.

  2. 사화·전란과 연결하기

    • 단종 → 세조(계유정난), 연산군(무오사화), 선조(임진왜란), 인조(병자호란)

    • 사건과 왕을 연결하면 암기가 훨씬 쉽습니다.

  3. 후기로 갈수록 세도정치와 국운 쇠퇴

    • 순조, 헌종, 철종은 세도 정치기 왕.

    • 고종과 순종은 대한제국과 일제강점기 전환기에 해당.

  4. 노래·리듬 활용

    • “태정태세 문단세 / 예성연중 인명선 / 광인효현 숙경영 / 정순헌철 고순”

    • 이른바 태정태세송으로 알려진 구절은 시험 준비생들이 가장 많이 활용하는 암기법입니다.


결론

조선왕조의 역대 국왕 계보는 단순한 이름의 나열이 아니라, 한국사 전체의 큰 흐름을 이해하는 중요한 열쇠입니다. 각 왕의 본명(휘)과 묘호, 업적을 함께 정리하면 왕조사를 훨씬 체계적으로 외울 수 있습니다. 태조 이성계로부터 시작된 조선은 세종과 정조 같은 위대한 군주를 배출했으나, 말기로 갈수록 외세의 간섭과 내부적 혼란을 극복하지 못했습니다.
오늘 정리한 조선왕조 왕 순서와 계보, 암기법을 참고한다면 학생부터 역사 애호가까지 누구든 조선왕조의 흐름을 쉽게 외울 수 있을 것입니다.


키워드: 조선왕조계보, 조선왕 순서, 조선왕 가계도, 조선왕 묘호, 조선왕 휘, 조선왕 업적, 조선왕 외우기, 태정태세송, 조선왕조 역사, 한국사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한글 파일 합치기 단축키 ( 문서 합치기 방법 )

시디키 필요없는 파워포인트 무료설치 2가지 방법 파워포인트 2019 무료설치 ms오피스2016 시리얼

한글 2019 무료설치 한컴 2019 체험판 다운로드 -한글 2017 무료설치 대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