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공무원 봉급표, 군인 월급 정리: 일반직, 교사, 군인, 경찰·소방공무원까지 총정리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률: 3.5% 인상, 9년만의 최대 폭
2026년도 공무원 봉급은 전년 대비 평균 3.5% 인상됩니다. 이는 2017년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은 인상률로, 물가상승률을 상회하는 수준입니다. 2021~2023년 동안은 공무원 기본급 인상률이 물가상승률보다 낮아 상대적 박탈감이 컸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조치는 다소 늦었지만 의미 있는 변화입니다.
그 배경에는 민간과 공공 부문 간 임금격차 확대가 있습니다. 2020년까지 민간 대비 공무원 임금 수준은 90%였으나 2023년에는 83.9%로 하락한 상황이었습니다. 이에 공무원노조는 기본급 6.6% 인상을 요구했고, 결국 타협안으로 3.5% 인상이 확정되었습니다.
2026년 공무원 봉급표 (일반직렬 기준)
아래는 2026년 일반직 공무원 봉급표 일부이며, 1급부터 9급까지 모든 계급과 호봉에 따라 달라집니다.
- 9급 1호봉: 2,070,900원
- 7급 1호봉: 2,249,700원
- 5급 1호봉: 2,896,400원
- 3급 10호봉: 5,113,600원
- 1급 20호봉: 7,770,600원
참고: 일반직은 1급에서 9급까지 계급이 있으며, 1급이 최고위직, 9급이 신입 공무원입니다. 초봉 기준으로 보면, 2026년 9급 공무원 초임 월급은 수당 포함 시 약 280~300만 원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2026년 군인 월급표
군인의 경우, 계급은 장성부터 하사까지 다양하며, 초임 소위 기준 2,087,900원으로 시작합니다.
- 소위 1호봉: 2,087,900원
- 중위 1호봉: 2,239,600원
- 대위 1호봉: 2,805,000원
- 대령 1호봉: 4,671,200원
- 소장 1호봉: 6,099,000원
현역 병사의 병장 월급은 별도의 병사봉급표에 따라 책정되며, 2026년 기준으로는 병장 월 800,000원 이상까지 올라갈 가능성이 있습니다(국방부 발표 기준).
2026년 교사 호봉표 (유·초·중·고 교원 기준)
교사는 교육공무원으로 별도 호봉표가 적용됩니다. 2026년 기준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원 봉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 1호봉: 1,982,100원
- 10호봉: 2,471,400원
- 20호봉: 3,481,000원
- 30호봉: 4,826,800원
- 40호봉: 6,205,700원
교사들은 대부분 1호봉~20호봉 구간에서 시작하여 정년퇴직 시점에는 30~40호봉에 도달하는 구조입니다. 교육공무원은 교사 외에도 행정직, 장학관, 교육행정직 등이 있으며, 대부분 공무원보수규정 [별표 11]을 따릅니다.
2026년 경찰·소방 공무원 봉급표
경찰과 소방공무원은 계급별 봉급표가 별도로 존재하며, 그 구조는 다음과 같습니다.
- 순경 1호봉: 2,070,900원
- 경장 1호봉: 2,150,800원
- 경사 1호봉: 2,400,200원
- 경위 1호봉: 2,434,700원
- 경정 1호봉: 3,619,000원
- 총경 1호봉: 4,167,700원
- 치안정감 1호봉: 4,905,100원
소방공무원 역시 동일 구조로 적용되며, 계급에 따라 봉급이 다르게 책정됩니다. 소방사, 소방교, 소방장, 소방위, 소방경, 소방령 등 총 10개 계급이 있으며, 경찰 계급과 호칭만 다를 뿐 거의 동일한 구조입니다.
수당 포함 시 실수령액은?
공무원 봉급표는 '기본급' 기준입니다. 실제 수령액은 다음과 같은 수당이 포함됩니다.
- 정근수당: 근속기간에 따라 지급
- 명절휴가비: 설, 추석 기준 지급 (기본급의 60%)
- 초과근무수당
- 직책보조비
- 가족수당
- 위험근무수당 (소방·경찰·군인)
예시) 2026년 기준 9급 1호봉 일반직 공무원의 실수령은 다음과 같을 수 있습니다.
- 기본급: 2,070,900원
- 수당 포함: 약 2,600,000원 ~ 2,800,000원
- 실수령액(세후): 약 2,400,000원 내외
공무원 봉급과 민간 임금 비교
공무원 임금은 민간 임금과 직접 비교는 어렵지만, 평균적으로 대기업 기준보다는 낮고, 중소기업 평균보다는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정년보장, 연금, 복지를 고려하면 전체 보상 수준은 여전히 안정적이라고 평가됩니다.
결론: 2026년은 공무원 임금 회복의 원년이 될까?
2026년 공무원 봉급 인상은 상징적인 의미를 가집니다. 특히 3.5% 인상률은 지난 수년간 정체된 보수체계에 대한 보완이자, 공직사회 사기를 고려한 정책적 조치입니다.
다만 공무원 내부에서는 여전히 체감 부족, 수당 비중의 불균형, 민간 대비 낮은 보상이 문제로 제기되고 있습니다. 단순히 '기본급 인상'에 그칠 것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보완책도 병행되어야 할 시점입니다.
- 수당 구조의 합리화
- 공무원 연금 개편과 연계된 보상 체계 정비
- 직렬 간 불균형 해소
공무원, 군인, 교사, 경찰·소방 등 국민의 삶을 지탱하는 직업군에 대한 합리적 보상은 단순한 급여 인상을 넘어, 사회적 신뢰와 공공의 가치를 반영해야 할 문제입니다.
키워드: 2026년 공무원 봉급표, 2026 군인 월급, 공무원 인상률 3.5%, 일반직 봉급표, 교사 호봉표, 경찰 소방 봉급표, 공무원 수당, 실수령액, 민간 대비 공무원 임금, 공무원 연금